공지사항
- 메인으로 이동
- 공지/참여
- 공지사항
- 공지사항
[AI대학원] 11/28(금), 강재우 교수, Agentic AI for Precision Medicine and Drug Discovery
부산대 AI 콜로퀴엄 2025 다섯번째 강연을 안내드립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석 바랍니다.
* 콜로퀴엄은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오프라인 참석 사전 등록 및 온라인 참가 신청을 각각 받고 있습니다.
가급적 오프라인으로 참석하시기를 권장드리며, 오프라인 참석이 불가하신 경우 온라인 참가 신청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 오프라인 참석 사전 등록 : https://docs.google.com/forms/d/1SpwWdoVJzm7he83XUndMbXqTE5xbTZ0lu17nw2FxeZM/edit
- 온라인 참가 신청 : https://docs.google.com/forms/d/1xBJ9i98_DXjwp09EYiwc99Z6PNq23geQ7WlslxA4v_0/edit
------- 이하 강연 정보 -------
일시: 2025. 11. 28.(금) 오후 14:00-15:00
장소: 부산대학교 대학본부 3층 대회의실
주제: Agentic AI for Precision Medicine and Drug Discovery
연사: 강재우 / 고려대학교 교수
Abstract:
본 강연은 거대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 기반의 Agentic AI가 정밀의료 및 신약 개발 분야에 가져올 잠재적이며 혁신적인 변화를 조망한다.
방대한 규모의 의생명 데이터를 다루는 제약 및 의료 분야에서, LLM은 단순한 데이터 처리 도구를 넘어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 전략을 자율적으로 탐색하며 실행하는 Agentic AI의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이 Agentic AI 개념이 정밀의료 및 신약 개발의 기존 연구 패러다임에 미칠 수 있는 근본적인 영향력을 심층적으로 논의한다.
특히, 다수의 의료 벤치마크에서 주목할 만한 성능을 입증한 소형 의생명 도메인 특화 LLM인 'Meerkat'의 개발 및 응용 사례를 공유한다. Meerkat은 단일 태스크 수행을 넘어, 약물 설계 도구, 화합물 특성 예측 시스템 등 다양한 전문 시스템들을 통합적으로 연동하고 운용하며 연구 가설을 자율적으로 검증하는 AI 에이전트로서의 잠재력을 시연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에이전트 기반 접근 방식을 통해 AI가 실험, 분석, 설계를 반복하며 지식을 축적하는 'Self-Driving Drug Discovery Loop'와 같은 자율화된 연구 사이클을 구현할 가능성을 탐색한다. 본 강연은 Agentic AI가 신약 개발 전주기(End-to-End)와 환자 맞춤형 정밀의료 파이프라인에 통합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함께,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 및 향후 발전 전망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제시한다.
Speaker Bio:
[약력]
- 2003 위스콘신대학(메디슨), 박사(컴퓨터학)
- 1996 콜로다로대학(볼더), 석사(컴퓨터학)
- 1994 고려대학교, 학사(컴퓨터학)
[주요 경력사항]
- 2021-현재 아이젠사이언스CEO/Founder
- 2006-현재 고려대학교 컴퓨터학
- 2003-2006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 컴퓨터학과 조교수
[대표 성과]
- 2016 AstraZeneca-Sanger 약물시너지 드림챌린지2위
- 2017 미국 국립암연구소 유전단백체 드림챌린지1위
- 2018 다중표적약물 드림챌린지1위
- 2019 약물활성예측 드림챌린지1위
- 2019 BioASQ 7B 의생명AI 질의응답 국제대회1위
- 2020 BioASQ 8B 의생명AI 질의응답 국제대회1위
- 2021 BioCreative VII 의생명 문헌정보처리 국제대회1위
- 2023 RadSum Challenge 1위
- 2025 BioASQ 13B 의생명AI 질의응답 국제대회1위
- 2025 BioCreative IX MedHopQA 챌린지1위
- J. Lee et al., BioBERT: a pre-trained biomedical language representation model for biomedical text mining. Bioinformatics, Volume 36, Issue 4, February 2020 (인용횟수> 8000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