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SAN NATIONAL UNIVERSITY 부산대소식
2025.10
vol.947
학내 소식
-
부산대, ㈜한국능률협회컨설팅과 AX 파트너십 체결…대학 AI 표준 수립 공동선언
부산대가 추진하고 있는 대대적인 AI 혁신 전략인 ‘A.U.R.A. 프로젝트’의 실행 기반을 마련하고자, 9월 9일 서울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공식 체결했다. A.U.R.A.(아우라) 프로젝트는 △AI Philosophy(AI 철학) △Unified Research(융합 연구) △Reinforced Education(교육 강화) △Adaptive Administration(적응형 행정)을 의미하며, 부산대의 정책·교육·연구·행정·인프라 등 전 영역에 걸쳐 AI 대전환을 추진하겠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부산대는 앞서 지난 7월 31일, ‘AX 대전환 통합전략 추진 발족식(아래 사진)’을 열고 대학 구성원들과 함께 미래 고등교육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기 위한 AI 전환의 청사진과 구체적인 실행체계를 밝힌 바 있다. 부산대는 총장 직속으로 AX 선도위원회를 설치하고, 정책·교육·연구·행정·인프라 전반에 걸친 3개년 로드맵을 마련해 대외·전략부총장을 위원장으로 25명 내외의 보직자와 AI 전문가들이 참여해 전략을 총괄하기로 했다. 이어 AX Impact 추진단이 출범해 50여 명의 실무 부서장이 모여 각 분야의 실행 과제를 구체화하고 실질적인 성과 창출을 맡았다. 이러한 준비 과정을 거쳐 부산대는 AI 전환의 성공적 실행을 위해 실행 컨설팅 용역의 공식 파트너로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을 선정하고, 이날 열린 ‘제2회 KMAC AX 서밋’에서 양 기관이 공동으로 대한민국 대학 AI 대전환을 선도하겠다는 선언문을 발표했다. 선언문에는 △대한민국 대학 AX 표준화 △글로벌 경쟁력 확보 △AX 산학연 협력 실천 △인간중심 가치 계승이라는 네 가지 핵심 목표를 담았다. 공동선언 후 부산대는 LG화학, 삼성SDS 등 다양한 기관들과 함께 연사로 참여해, ‘대학 AX 대전환 전략’을 주제로 PNU-AX 마스터플랜 수립에 대한 사례를 소개했다. 부산대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AI 기반 대학 혁신의 전국적 확산을 견인하고, 글로벌 선도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한 실질적인 성과 창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 위 사진: 부산대-한국능률협회컨설팅 AX 공동선언 모습. 왼쪽부터 최재원 부산대 총장, 한수희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대표.
-
「대학생·대학원생 커리어 페어」 성료…진로·취업·창업 정보 한자리에
부산대는 학부생들과 대학원생들의 진로 탐색과 취업·창업 지원을 아우르는 대규모 커리어 박람회인 ‘2025년 진로 IN, 미래 ON : 대학생·대학원생 커리어 페어’ 행사를 9월 17일과 18일 교내 시월광장 등에서 개최해 학생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진학·취업·창업을 한자리에서 지원하는 부산대의 첫 통합 박람회로, 현장에는 한국수력원자력, 하나은행, 대한항공, HD현대 등 60여 개 기업·기관을 비롯해 대학원, 창업 관련 기관 등 총 80여 개 부스가 운영돼 학생들에게 다채로운 진로 정보를 제공했다. 참가 학생들은 기업 인사담당자와의 현장 상담, 채용설명회, 진학·연구·창업 상담 등을 통해 개별 맞춤형 정보를 수집하며, 스스로의 강점을 발견하고 구체적인 커리어 로드맵을 그려보는 기회를 가졌다. 부산대는 앞으로도 학생들이 진학·취업·창업 등 원하는 길을 성공적으로 개척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 사진: 부산대 대학생·대학원생 커리어 페어 행사 모습.
-
부산대, 교육부 「글로컬랩 사업」 선정…9년간 135억 원 지원
부산대가 지역 혁신을 이끄는 기초연구 생태계 거점 육성을 위해 교육부가 지원하는 ‘2025년 글로컬랩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글로컬랩 사업’은 대학 부설 연구소를 지역 기초연구와 산업 연계의 허브로 육성하는 교육부의 신규 R&D(연구·개발) 사업으로, 전국 14개 대학만이 선정된 대형 국책 과제다. 부산대는 이번 글로컬랩 사업에 교내 에너지융합기술연구소가 ‘이차전지 전주기 순환자원화 융합연구(CELLBACK, Circular Engineering for Low-impact & Lifecycle Battery Applications & Convergence Keyhub)’ 과제로 선정됐다.※ 사업 총괄연구책임자: 김수형 교수, 그룹책임자: 박민준 교수, 김창혁 교수, 공동연구원: 김재호 교수, 이진홍 교수, 손상환 교수, 권성현 교수. 부산대 에너지융합기술연구소 CELLBACK 글로컬랩은 향후 9년간 총 135억 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사용후배터리 전주기 업사이클링 기술 개발과 인재 양성의 지역 거점 연구소로 본격 도약하게 된다. 이번 사업을 통해 사용후배터리 해체-진단-재조립-안전분석-환경평가 등 전주기 기술의 실증 생태계를 조성하고, 이차전지 기반 지역 산업과 연계한 수요맞춤형 산학 R&D, 캡스톤디자인 및 인턴십을 통한 창의 융합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 영국 글래스고대, 미국 퍼듀대 및 조지아텍, 일본 도쿄대 및 교토대 등과의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글로벌 기술 협력을 확대해, 지역 산업과 인재 양성, 기초연구 성과 창출 등 삼위일체 구조를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모빌리티 해체 산업과 긴밀히 연계된 사용후배터리 재활용 시장에서, 기술 검증 및 표준화, 안전성 인증, 환경영향 분석 등 규제 대응 플랫폼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전망이다. * 이미지: 부산대 글로컬랩 과제 모식도.
-
부산대, 과기부 「차세대 양자과학기술 핵심 기초원천연구」 사업 선정
부산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차세대 양자과학기술 핵심 기초원천연구」 사업에 단독 선정(과제책임자 옥종목·물리학과 교수)돼, 초전도 소재·측정·이론을 아우르는 융합 연구를 통해 국내 양자소재 연구 거점으로 도약할 계획이다. 이번 과제는 전기가 흐를 때 에너지 손실이 없는 초전도체 중에서도, 차세대 양자컴퓨터의 핵심 기반으로 주목받는 3차원 ‘위상초전도체’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위상초전도체는 물질 내부에 특이한 양자 상태(마요라나 상태)가 나타나 정보 손실에 강하고 잡음에 잘 견디는 특성을 가진다. 이 때문에 미래 양자컴퓨터의 안정성과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 과제를 통해 올해부터 2029년까지 5년간 국비 45억 원, 시비 2억 원 등 총 47억 원을 투입, △고품질 위상초전도 소재 개발 및 성능 향상 △극저온·고자장 환경에서의 위상초전도 특성 측정 기술 확보 △다양한 측정 기법을 통한 위상초전도 현상 검증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부산·울산·경남 지역을 국내 양자소재 연구 거점으로 육성하고, 지역 제조업 및 첨단산업과의 연계도 강화할 방침이다. 이번 과제는 부산대 물리학과 옥종목, 박성균, 황춘규 교수를 비롯해, UNIST 물리학과 오윤석 교수, KAIST 물리학과 조길영 교수, 창원대 반도체물리학과 서순범 교수, 그리고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장동진 박사, 함웅돈 박사 등이 참여한다. 다양한 전문성을 갖춘 연구진이 협력함으로써, 고순도 단결정 성장부터 이론 모델 계산, 극저온 물성 측정, 위상초전도 특성 검증에 이르는 전 주기를 아우르는 융합 연구가 전망된다. 연구책임자인 옥종목 교수는 “이번 과제는 세계적으로도 도전적인 연구 분야로, 성공한다면 부산을 넘어 대한민국이 양자소재 연구를 선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다가올 양자 시대(the quantum era)를 준비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사진: 9월 29일 열린 차세대 양자과학기술 핵심 기초원천연구 사업 킥오프 행사 모습.
-
선박해양플랜트기술연구원, KOLAS 재평가 인정 획득
2025-10-01 -
부산대–삼성중공업㈜, 조선해양·로봇 산업 발전 위한 MoU 체결
2025-10-01 -
부산대, 독일 프라운호퍼와 연구교류회 가져
2025-10-01 -
부산대-범어사 성보박물관과 MoU 체결…문화살롱 등 공동체 문화 기반 마련
2025-10-01 -
부산대, 국립대 유일 케이무크 「블루리본 최우수강좌」 2과목 선정
2025-10-01 -
부산대-부산교대 학생회, 통합 앞두고 네트워크 워크숍 개최
2025-10-01 -
부산대 기술창업주간 「PNU Tech Biz Week 2025」 성료
2025-10-01 -
KOTRA-부산대 외국인 유학생 채용상담회 개최
2025-10-01 -
라이즈사업단, 한국-일본-대만 'KYUTECH 워크숍' 성료
2025-10-01